[인류무형유산 기획공연] 가곡, 아름다운 우리 노래

2021. 11. 12. 13:44풍류방이야기

안녕하세요. 가곡전수관입니다. 

벌써 2021년도 어느덧 끝자락에 다다른 11월입니다.  창밖에는 빨갛고 노랗게 물들었던 단풍도 하나 둘 떨어지고 있어 아쉬운 때입니다. 

이번 11월 목요풍류는 인류무형유산 지원사업으로 "가곡, 아름다운 우리 노래"라는 제목으로 기획공연을 준비하였습니다.

 

 

2021년 올해는 우리 겨레의 훌륭한 문화유산인 가곡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걸작으로 권고 등재된 지 11주년이 되는 해로써 가곡전수관에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1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이번 공연을 열심히 준비하였습니다. 

 

 

이번 기획공연에는 우리 영송당 조순자 선생님께서 사회를 보지 않으시고 직접 노래를 불러주셨는데요. 영송당 선생님 대신 우리 가곡전수관의 사무국장님이시자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자이신 신용호 사무국장님께서 사회를 보는 특별한 무대였답니다.

 

그 첫번째 무대로는 우조 이삭대엽 '동짓달'을 영송당 조순자 선생님과 이유나, 김참이 이수자가 함께 불러주었습니다. 

여창가곡은 초삭대엽을 부르지 않으므로 이삭대엽이 여창의 첫곡입니다. 가곡 한바탕 중에서 가장 느린 1분 20정 정도로 매우 느리게 부르는 노래이죠. 우리 영송당 조순자 선생님의 트레이드 마크라고 할 수 있는 우조 이삭대엽 버들은 을 보통 많이 부르는데 이번 공연에서는 우조 이삭대엽 동짓달을 불러보았답니다. 가곡원류에서는 이삭대엽의 음악적 풍도를 공자가 은행나무 아래에서 설법하고 비와 바람이 순조롭고 고르다 라고 표현을 하였답니다. 

 

初章  동짓달 기나긴 밤을
貳章  한 허리를 둘에 내여
參章  춘풍(春風)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四章  어룬님
五章  오신날 밤이 여든 구비구비 펴리라

 

 

두 번째 무대도 역시 영송당 조순자 선생님과 이유나, 김참이 이수자가 함께 부르는 반우반계 반엽 '담안에'입니다.

반엽은 처음에는 우조 선율로 시작하다가 곡 중간에 속도가 느려지면서 계면조 선율로 바뀌게 됩니다. 따라서 이 반엽은 앞의 우조 곡과 뒤의 계면조 곡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하는데, 이런 의미에서 이 반엽을 반은 우조이고 반은 계면조라는 뜻의 반우반계라 칭합니다.

 

初章  담안에 섯는 꽃이
貳章  모란(牡丹)인가 해당화(海棠花)인가
參章  해뜩발긋 피여 있어 남의 눈을 놀래느냐
四章  두어라
五章  님자 있으랴 나도 꺾어 보리라

 

 

세 번째 무대는 계면조 이삭대엽 '이화우'도 영송당 조순자 선생님과 이유나, 김참이 가인이 불러주었습니다.

이삭대엽은 우조와 계면조가 있고, 남창과 여창이 각각 있는 곡이죠. 

初章  이화우 흩날릴 제
貳章  울며 잡고 이별한 님
參章  추풍낙엽에 저도 나를 생각는가
四章  천리에
五章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하도다

 

 

다음 무대가 준비되는 중간중간에 신용호 사무국장님의 재미있는 해설이 계속 더 해졌답니다. 18세기 가곡의 체계를 완성한 장우벽에 대한 이야기, 우리 가곡이 어떤 노래 인지 등 재미있는 해설이 더 해졌는데 그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가곡전수관 유튜브 채널에서 다시 보기로 GO! GO! GO!!

 

네 번째 무대는 이유나 이수자와 신수경, 이가은 전수장학생이 불러주는 계면조 롱 '북두' 무대입니다.

가곡 계면조 농(弄)은 악곡의 흐름이 흥청거리듯 유연하게 흐르는 곡으로 “농(弄)” 또는 “농가(弄歌)”라고 불렀습니다. 흥청거리는 창법으로 16박 한 장단의 느린 속도로 부르며, 가곡의 기본형식과 같지만 사설의 글자 수에 따라 3장이 늘어나던지 초장 첫 장단에 3박이 늘어나기도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창 계면조 농 북두는 7개의 별을 헤아리며 사랑하는 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시로써, 밤새 연인과 정담을 나누는데 빨리 아침이 오니 아침을 알리는 샛별이 뜨지 말도록 해달라는 내용입니다.

 

初章 북두칠성(北斗七星)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분께
貳章 민망한 발괄 소지(所持) 한 장 아뢰나이다
參章 그리든 님을 만나 정(情) 엣 말삼 채 못하여 날이 쉬 새니 글로 민망
四章 밤중만
五章 삼태성(三台星) 차사(差使) 놓아 샛별 없이 하소서

 

 

다섯 번째 무대는 김참이 이수자와 신수경, 이가은 전수장학생이 함께 불러주는 반우반계 환계락 '사랑을' 무대입니다.
환계락(還界樂)은 남창가곡에는 없고 여창가곡에만 있는 곡으로 우조인 우락에서 계면조인 계락으로 연결될 때 조바꿈을 원활히 하기 위한 곡으로 우조로 시작하여 곡 중간에 계면조로 바뀝니다. 빠르기는 1분 55정이고, 16박 한 장단 가곡의 기본형으로 사설의 글자 수에 따라 3장을 확대하기도 하는 곡입니다.

 

初章  사랑을 찬찬 얽동혀 뒤 걸머지고
貳章  태산준령을 허위허위 넘어가니
參章  모르는 벗님네는 그만하여 바리고 가라 하건 마는
四章  가다가
五章  자질려 죽을 센 정 나는 아니 바리고 갈까

 

 

마지막 무대는 계면-우-계면조 '장진주'를 이유나, 김참이 이수자가 불러주었습니다.

장진주는 조선 선조 때 정철(鄭澈)이 지은 「장진주사(將進酒辭)」를 여창(女唱) 가곡 조에 의하여 부르는 곡입니다.

음악적인 형태는 대여음, 초장, 2장 그리고 중여음 이후 5장까지는 가곡과 같이 16박 장단에 의하여 부르나, 3장은 16박장단-8박 장단 반복-16박장단으로 장단과 속도가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선법도 처음은 계면조에서 시작하여 우조를 거쳐 다시 계면조로 변조합니다.

 

初章  한잔 먹사이다
貳章  또 한잔 먹사이다
參章  꽃 것거 주(籌)를 놓고 무진무진 먹사이다 이 몸 죽은 후에 지게 우에 거적 덮어 주푸루혀 메여가나
        유소 보장(流蘇寶帳)에 백복시마(百服緦麻) 울어 예나 어욱새 더욱새며 덕게나무 백양(白楊) 숲에
        가기 곧 기량이면 누른 해 흰 달과 굵은 눈 가는 비며 소소(簫簫)리 바람 불제 뉘 한잔 먹자하리
四章 하물며
五章 무덤 우에 잔나비 파람 헐제 뉘우친들 미치랴.

 

 

11월 1일부터 새로 도입된 단계적 일상 회복 1차 개편이 되었지만 가곡전수관은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최소 관객만을 모시고 공연을 진행하였으며 그리 인해 공연장에 함께 하지 못해 아쉬운 분들을 위해 가곡전수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황 중계를 진행하였습니다.  공연 당일부터 갑자기 추워진 날씨로 인해 관객이 없으면 어쩌나 걱정을 많이 했지만 많은 관객께서 함께 이번 기획공연에 함께 해주시어 기쁜 마음 감출 수 없었답니다.

 

혹 이번 공연에 함께 하지 못해 아쉬운 분들을 위해 가곡전수관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연 다시 보기가 가능하니 많은 시청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 아래의 그림을 누르시면 해당 공연으로 링크되니 많은 관람 부탁드려요!!!)

 

 

 

그럼 다음 2021년의 마지막 공연인 12월 9일(목) 19:30 목요풍류 공연에서 다시 만나요!!

늘 가곡전수관을 아껴주시고 찾아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