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복 새벽편지] 마산 가곡전수관 방문기

2010. 2. 12. 09:43사랑방이야기


지난주 이태복 이사장님이 가곡전수관에 다녀가신 후 홈페이지에 쓰신 글입니다. 가곡전수관을 찾느라 헤맨 이야기, 가곡전수관과 전수생들에 대한 인상, 국악의 대중화를 위한 고민들이 잘 묻어나는 글입니다. 함께 보아요.


  이태복 새벽편지 [새벽편지251]

마산 가곡전수관 방문기

지난해 말에 “가곡 명인 조순자 선생을 아시나요?” 라는 글을 쓴 적이 있었다. 그 글에서 조순자 명인이 마산에서 가곡 전수관을 운영하여 후진을 양성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다. 통영에 강연을 하는 기회가 생겨 바로 옆에 있는 마산에 들러 가곡 전수관을 꼭 보고 싶었다. 한국사회처럼 변화무쌍한 풍토에서 한 길을 간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매우 고달프고 힘들뿐 아니라 시쳇말로 돈이 안 되는 일이다. 그런데 이런 삶의 자세를 넘어 자신의 사재를 털어 명맥을 잇고, 후진 양성에 온 정성을 기울이는 모습이 얼마나 소중하고 아름다운가. 정말 힘 내시라고 격려하고 고맙다는 인사를 드리고 싶었다.


여전히 가곡하면 무심결에 ‘가고파?나 ‘그리운 금강산’을 떠올리지, 국악의 핵심의 하나로 인식하는 사람은 드물다. 평소에 가곡을 만날 기회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학교 교육과정에서조차 가곡에 대한 소개를 받은 적도 없다. 그러니 일반 국민들이나 지식인들조차 국악 가곡을 모르고, 그런 사실조차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는 풍토이니 참으로 얼이 빠졌다고 아니할 수 없다.


이런 소중한 장소를 초행길에 찾는 것은 너무 어려웠다. 마산시 도로 자체가 부산처럼 산복도로가 발전했고, 그런 탓에 몇 번 잘못 들어섰다가 겨우 찾았다. 운전에 미숙한 필자 탓도 있을 것이다.


중요무형문화제 제30호로 지정되어 있는 가곡 전수관은 예상했던 것보다 아담하고 정갈했다. 2006년에 건립되었다는 건물 외관은 양옥이어서 조금 아쉬웠지만 대부분 격조 있게 꾸며놓았다. 공연장은 바로 옆에 새로 짓고 있었는데, 예산이 넉넉하지 못해 설계도를 변경해가며 공연에 필요한 사무실은 짓지 못하고, 공연장만 짓기로 했다고 한다. 나눔방에서 잠깐 얘기를 나누고 늦은 점심을 부둣가의 시장터에 내려가서 먹었다. 경남지역 음식맛이 주로 맵고 짠데 의외로 담백하고 시원해서 아주 맛있게 먹었다. 아마 조순자 명인과 실무를 맡고 있는 듬직한 신용호 팀장과 손상민 간사, 두 사람이 있어서라고 할까. 조순자 명인과 함께 부르는 울림이 계속되겠다는 믿음이 생겨서 그런지 더욱 음식맛이 좋았는지 모른다.


조순자 명인을 관장으로 5명의 이수자가 있고, 80여명의 전수생과 문하생이 가곡 전승 및 보전에 힘쓰고 있었다. 마침 숙박교육을 하는 20여명의 연수생들이 있어서 국문학이나 무용 등을 전공하는 교수를 비롯하여 여러분들과 인사를 나눴다. 어려운 길을 선택해 진지하게 연습하고 낯선 사람에게 던지는 호기심 있는 눈빛과 자기 일에 몰두하고 있는 사람들의 순수한 몸짓이 저절로 느껴졌다. 가곡전수관은 교육과학기술부의 학점은행제 평가인정기관으로, 전통음악과 학사학위과정을 개설하여 전통예술학사를 양성하고 있었다.


지음실, 나눔실, 강의실, 행정실 등을 돌아보고, 마주 앉아 전국방방곡곡에 전통의 음악이 되살아나서 국민들의 생활 속에 자리잡았으면 좋겠다는 덕담을 드렸다. 가곡은 구전으로만 전해지지 않고, 책으로도 남겨졌다. 악기 연주를 위해 ‘금보’라는 악보를 남겼고, 노랫말의 기억을 위해서 가사모음집인 가집도 펴내고 있다.


참으로 여운이 깊은 인사를 나누고 가곡관을 나설 수밖에 없었다. 충주에서 만나기로 한 일정 때문이다. 한반도 남쪽 맨 아래에서 국토의 한가운데를 거슬러 밤길을 타면서도 국악을 어떻게 우리 생활과 접목시켜 나가고 대중화 해갈지에 대한 여러 생각이 끊임없이 떠돌랐다. 우선 현실 가능한 방법부터 또 보다 구조적인 재생산방식이나 한국하면 바로 떠올릴 수 있는 공연 프로그램까지...


일단 국악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국립국악원의 기능과 예산을 대폭 확대하여 연구와 창작, 대중공연 등 다채로운 작업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방송 등 대중매체에서 형식적인 공연중계가 아니라 국악을 소재로 한 재미있는 프로그램을 시도해야 한다. 갈 길이 멀지만, 해야 할 일이 많다는 것은 또 얼마나 즐겁고 보람된 일인가. 힘써 뜻과 생각을 모아서 찬란한 국악문화가 우리 국민들의 생활 속에서 피어났으면 좋겠다.



※ 원본 글
http://www.leetaebok.pe.kr/home/help/?code=letter&url=/home/hi_bbs/?code=letter&imode=view&id=281